전근대 의료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의학과 서양 의학의 유사성과 특징 한의학과 서양 의학의 유사성과 특징굉장히 흥미로운 것은 우리나라의 전통의학인 한의학도 이러한 서구의 이른바 전근대 의학과 굉장히 유사한 모습을 띠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의 한의학에서도 4체액설과 유사하게 인간의 몸이 목, 화, 토, 금, 수라는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는 오행설에 기초해서 치료의 방식을 정립해 나갑니다. 아울러 서양에서 근대의학이 발전하기 전에는 우리가 한의학의 가장 기초적인 진단방식으로 인식하는 맥진이 굉장히 널리 통용되고 있었다고 합니다. 특히 갈레노스는 현대의학에서 사용되는 것보다도 맥의 모습에 대해 더 상세하게 기술하면서 맥의 진단을 중요하게 생각했다고 합니다.전근대 의료와 한의학에서 주의해서 볼 부분서구의 전근대 의료와 우리의 한의학이 서로 닮은 부분이 있다는 점이 아닙니다... 전근대 의료의 모습과 이해 전근대 의료의 모습과 이해근대의학이 탄생하기 전인 전근대 의료의 모습을 통해서 의료에 대한 원초적인 이해 또는 의료의 원형적인 모습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그 이유는 전근대 의료에서는 대화 혹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의료의 본질적인 모습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의료행위의 대상인 질병은 이른바 근대의학이 탄생하기 전까지는 단지 몸의 외부에서 침투한 무언가라고만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질병은 이것을 넘어서서 환자가 경험하는 고통의 총체라고 이해되었습니다. 우리가 질병을 고통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요? 그리고 더 나아가서 이러한 이해는 의료의 본질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어떠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는 것일까요?고통의 정의와 극복 방법우선 고통이라고 하는 것은..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