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자

(2)
의사와 환자간 설명의무의 법적 규율 의사와 환자간 설명의무의 법적 규율설명의무가 의사와 환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했었는데요. 그렇다면 과연 이 의사의 설명의무에 대해서는 법에 명시적으로 규정이 되어 있을까요? 우선 이 질문에 답을 하기 전에 제가 '법에 명시적으로 규정되어 있을까요?'라고 말할 때의 '법'은 굉장히 광범위하고 다양할 수 있다는 점을 잠깐 생각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의료에 관한 사항을 규율하는 법은 매우 다양합니다. 의료에 관한 사항을 규율하는 법이라면 어떠한 명칭을 지니든 상관없이 일단 통상적으로 의료법의 영역에 속한다고 말하는데요. 이 경우 의료법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의 의료법 또는 광의의 의료법을 지칭하는 것이라고 얘기합니다. 이렇게 광의의 의료법이 있다면 좀 좁은 의미의 의료법 또는 협의..
한의학과 서양 의학의 유사성과 특징 한의학과 서양 의학의 유사성과 특징굉장히 흥미로운 것은 우리나라의 전통의학인 한의학도 이러한 서구의 이른바 전근대 의학과 굉장히 유사한 모습을 띠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의 한의학에서도 4체액설과 유사하게 인간의 몸이 목, 화, 토, 금, 수라는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는 오행설에 기초해서 치료의 방식을 정립해 나갑니다. 아울러 서양에서 근대의학이 발전하기 전에는 우리가 한의학의 가장 기초적인 진단방식으로 인식하는 맥진이 굉장히 널리 통용되고 있었다고 합니다. 특히 갈레노스는 현대의학에서 사용되는 것보다도 맥의 모습에 대해 더 상세하게 기술하면서 맥의 진단을 중요하게 생각했다고 합니다.전근대 의료와 한의학에서 주의해서 볼 부분서구의 전근대 의료와 우리의 한의학이 서로 닮은 부분이 있다는 점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