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의료 계약과 법률상 의료행위의 범위 의료 계약과 법률상 의료행위의 범위의료의 과정이 역동적으로 진행이 될 때 각각의 상황, 상황들에서 우리가 계약을 체결할 때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진료행위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이럴 때 의사는 이런 필요하게 되는 행위와 관련해서 환자가 정말 이 행위가 필요한지, 이러한 행위를 하게 되면 어떤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지, 이런 것들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환자에게는 그 진료행위를 받을 것인지에 대해서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을 환자의 자기 결정권이라고도 얘기를 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의료계약에 의해서 제공되는 진료의 내용은 이와 같이 의료인의 설명 그리고 이것에 기초한 환자의 동의에 의해서 구체화된다고 할 수 있.. 의료의 정의와 본질 이해하기 의료의 정의와 본질 이해하기의료사고와 이로 인한 분쟁을 잘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의료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의료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우리가 법적 관점에서 의료의 문제를 다룰 때 우리는 의료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이 물음은 한편으로는 쉽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참 대답하기가 쉽지 않은 질문인 것 같습니다. 저는 한스게오르크 가다머라는 독일 철학자의 연구를 여러분께 소개해드리면서 이 물음에 대답해보고자 합니다.의료의 정의가다머는 〈Uber die Verborgenheit der Gesundheit〉라는, 우리말로 번역하면 〈건강의 본질(또는 건강에 내재되어 있는 것)에 관하여〉라는 자신의 책에서 특히 치료를 지칭하는 독일어 단어인 '베한들룽(Behandlung).. 이전 1 다음